#1 Assignment
▼ [11번가 App] 문제정의, 솔루션 도출
❑ 문제 정의
▷ 페르소나 : 할인쿠폰 광고를 보고 처음 이용하는 고객
- 오프라인보다 이커머스를 이용하는 고객이 늘어났고 차별화를 위해 익일, 새벽 배송, 다양한 이벤트 등 바쁜 현대인들에게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 상품 콘텐츠를 보는 것이 아닌 실질적으로 제품을 구매해야 하며, 아마존과의 전략적 제휴 맺음으로 다양한 이벤트들을 하나의 App으로 유입함으로 깔끔하고 심플함이 주목적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 그렇다면 나와 같이 네이버, 쿠팡에 익숙한 사람들을 유입하려면 어떠한 접근이 필요할까 하여 '할인쿠폰 광고를 보고 처음 이용하는 고객'으로 페르소나를 정하고 이를 분석해 보았다.
▷ 문제 정의
- 처음 이용하는 고객은 무엇을 먼저 클릭해야 할지 판단이 서지가 않았다.
- 복잡하고 좋은 어플이 아닐 거라는 이른 판단으로 이탈률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 가설 수립
- 나 자신이 직접 페르소나 역할을 시행하고 11번가 App의 첫인상을 기록하였다. 자주 or 익숙하지 않는 서비스이다 보니 무엇을 눌러야할지 무엇을 위한 서비스인지 가늠이 가지 않았다.
- 빠른 이미지 슬라이드와 움직임이 있는 실시간 검색 등 홈화면에는 즉, 한 하면에 모든걸 담으려는 듯하여 복잡하고 분주한 느낌이 들었다.
- 많은 광고로 인하여 원하는 정보를 바로 파악하지 못해 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어플을 삭제할 것으로 생각이 들었다.
❑ 솔루션 설계
* 서비스 or 비즈니스적으로 이해관계가 얽혀있기 때문에 디자인∙심리학 법칙에 근거하여 최대한 솔루션을 도출해 보았다.
- 11번가의 Identity Color의 채도가 강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채도를 덜어내어 사용자가 눈이 편하게 개선하고 싶었다.
- GNB는 서비스 목차 탭을한 눈에 보이는 것이 옳다고 판단했다. 5~6가지로 간추려서 그 외의 탭은 더 보기 아이콘으로 확장해서 보는 것이 UX가 편할 것으로 생각해 보았다.
- 쇼핑몰이라면 이목을 끌만한 상품도 좋겠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 검색 UX가 편리해야 온라인 쇼핑몰의 제 기능을 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포털싸이트처럼 실시간 검색을 삭제하거나 검색모달로 삽입하고 검색에 방해되는 요인을 삭제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해 보았다.
- 하단네비게이션 or 상단 아이콘에서 통상적으로 배치하는 MY 위치가 맨 우측에 위치해야 한다고 생각하다. 피츠의 법칙처럼 오른손 검지가 MY 버튼을 클릭하도록 용이하기 위해 배치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할 수 있겠지만, 제이콥 법칙처럼 익숙한 패턴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어 이를 생각해 보았다.
- 홈화면에 카테고리 섹션 아이콘에 위치한 중복된 기능이 있기 때문에, 섹션 아이콘 정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 4번과 마찬가지로 통상적으로 쓰이는 하단 네비게이션은 어떠한 기능에 길잡이 하는 역할로 생각하고 있다. 아이콘은 어떻게 표현해도 상관없지만 AD처럼 11번가가 아닌 다른 브랜드는 이 App의 정체성의 혼란을 안겨줄 수 있다고 판단이 들었다.
- 아이폰 미니로 테스트 진행하였기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겠지만 상품이 많고 스크롤이 많은 App은 인터랙션으로 적절하게 숨기기 기능이 필요할 것으로 바라보았다. 중요하지 않는 정보는 가리고 사용자 패턴을 예측하여 보이기/숨기기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주문 결제로 넘어갈 때는 사용자가 온전히 주문하기로 마음을 먹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수하지 않도록 주문 결제에만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심미적 or 사용성의 근거하여 스크롤 시 하단 네비게이션 보이기/숨기기 기능이 필요할 것으로 바라보았다.
또한 하단 네비게이션 아이콘 개수가 너무 많아 오클릭을 발생할 수 있으며 주문 결제에서 보일 수 있는 필요한 사항 말고는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바라보았다.
- 제품 상세페이지에는 스케일적으로 큰 메인 이미지와 상품명을 배치한다 하더라도 자연스럽게 맨 상단 AD가 눈에 띄게 된다. 첫 화면에 보이는 상품 상세페이지에 최 상단에(GNB 다음) 배치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을 하였다.
- 위와 동일한 사항으로 전체적으로 제품 상세 내용에 집중할 수 있도록 친화적인 UXUI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이 들었다. 광고 수익에 대한 욕심은 살짝 내려놓고 이탈률을 신경써야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을 해보았다.
* 물론 어느 구간에 이탈률이 보이는지는 지금 상황으로는 알 수 없겠지만, 나의 경험으로는 이러한 과도한 AD가 보임으로 깔끔하지가 않아 비슷한 어플을 삭제했던 기억이 있다.
❑ Aft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