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ASK
▼ 학습 목표
- 피그마가 어떤 툴인지 알고 피그마를 사용하는 실무 환경을 이해
- 피그마 인터페이스, 주요 메뉴와 기능 파악
- 피그마 핵심 기능인 프레임과 그룹의 차이
- 오토레이아웃과 컨스트레인트를 활용
#2 Figma Tool
1. 피그마 소개
❑ 피그마 특징
- 언제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
- 디자인부터 개발, PM(or 기획)까지 올인원 제품
- 강력한 커뮤니티
- 쉬운 학습
❑ 피그마의 파일 저장 방식
- 기본적으로 피그마 계정에 파일을 온라인으로 저장하는 클라우드 방식
- 내 컴퓨터에 저장하는 방식 로컬 방식도 지원
❑ 도형 만들기
- 기본적인 도형 생성 및 라운드 값(곡률) 생성
- 핸들을 이용한 스케일 값 변경 and 각도 조절
- 이미지등을 이용한 도형에 삽입
2. 핵심 테크닉
❑ 프레임과 그룹
- 프레임(Frame) : 피그마에서 코드 블록을 만드는 기능이자 실제 화면으로 인삭하는 개체
* 프레임은 코드 블록을 만드는 기능이고, 실제 코드로 바꿀 수 있는 개체
☞ 프레임은 개발에 필요한 속성을 적용 - 그룹(Group) : 어려 개체를 하나로 묶어 하나로 담는 기능
* 그룹은 편집이나 조정이 필요할 떄, 또는 편의를 위해 여러 개체를 하나로 담는 기능
☞ 그룹은 속성을 적용할 수 없
❑ 레이어와 정렬
- 레이어는 UI를 포함한 모든 개체 하나하나의 층
- 이 레이어를 화면에 배치하는 규칙이 정렬
❑ 오토레이아웃과 컨스트레인트
- 컨스트레인트(Constraint) : 오토레이아웃 안에 있는 개체들이 움직이는 모양을 제한한다는 뜻
- 부모 컨테이너의 크기가 변할 떄, 자식 컨테이너는 어디의 기준으로 삼을지 정할 수 있음
- UI 설계 외에도, 레이아웃을 조금 더 편하고 빠르게 쌓아 올리도록 도와주는 것도 오로레이아웃
- 컨스트레인트는 오토레이아웃을 사용해서 UI와 레이아웃을 설계하는 정렬과 배치 규칙
❑ 코드 블록의 구조
- 코드 블록은 피그마에선 프레임으로 만들고, 다른 말로는 컨테이너라고도 부름
- 패딩(Padding) : 코드 블록 안에 있는 개체와 함께 실제 블록의 사이즈가 되는 내부 여백
- 보더(Border) : 코드 블록 내부 공간 바로 바깥의 가장자리. 실제 코드 블록의 테두리
- 마진(Margin) : 코드 블록 바깥의 여백이자 다른 코드 블록과의 간격
'Knowledge > UX | Interac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gma] 피그마 활용_IA와 FlowChart (0) | 2024.03.12 |
---|---|
[Figma] 피그마 활용_디자인 시스템 (0) | 2024.03.11 |
[UXUI Design] UXUI 디자인 입문_Chapter 6 (0) | 2024.03.04 |
[UXUI Design] UXUI 디자인 입문_Chapter 5 (0) | 2024.03.01 |
[UXUI Design] UXUI 디자인 입문_Chapter 4 (0) | 2024.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