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oals
▼ 학습 목표
- 팝업과 모달을 이해
- 다이얼로그 컴포넌트를 만들고 그 그조와 기능을 이해
- 컨트롤 요소들을 살피고 체크박스와 라디오의 차이 이해
- 컴포넌트 지식 및 기술 활용해 디자인을 설계
#2 Learning Content
1. 컴포넌트
❑ 합성 컴포넌트와 컨테이너 컴포넌트
- 합성 컴포넌트는 대부분 버튼 컴포넌트에 파운데이션 또느 ㄴ컴포넌트가 여러개 합쳐진 형태
- 컨테이너 컴포넌트에는 바텀시트, 다이얼로그, 리스트, 카드 등 복잡한 구조의 컴포넌트들이 존재
2. 모달 UI
❑ 팝업
- 팝업 : 팝하고 튀어나온다는 의미로 UI에서는 현재 화면 위에 새로운 화면을 띄우는 것
- 윈도우 팝업 : 인터넷 창을 하나 더 띄우는 방법인데, 보안상에 이유로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음
-> 새로운 인터넷 창이 뜨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매우 불편. - 레이어 팝업 : 현재 화면에서 코드로 만든 컴포넌트를 보여주는 방식
-> 새로운 창을 띄우는 것이 아니라, 현재 화면에서 컴포넌트로 만든 레이어(층)을 하나 더 보여주는 개념
- 윈도우 팝업 : 인터넷 창을 하나 더 띄우는 방법인데, 보안상에 이유로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음
- 모달 : 사용자가 행동을 취하기 전까지 뒤에 가려진 화면을 조작할 수 없는 것을 뜻함
모달(modal)이라는 건 UI의 이름이 아니라, UI를 분류하는 기준 중 하나 - 라이트박스 : 모달 UI 팝업 시, 뒤에 가려진 화면은 사용할 수 없다는 걸 보여주기 위한 반투명한 층
* 라이트박스는 사용자에게 모달과 배경을 명확하게 분리해주고 집중해야 하는 부분을 안내하기 위한 목적(반드시 사용은 아님)
* 라이트박스 빈 공간을 누른다는 것은 해당 UI에서 뒤로가기(or 취소하기)
◈ 라이트박스는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하는 셈이고, 방해하면서라도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부분이거나, 또는 그만큼 중요한 선택이 필요한 시점에 사용해야 하는 것이 모달이다.
3. 다이얼로그 컴포넌트의 정의
❑ 정의
- 컴포넌트의 종류 중 컨테이너에 해당하는 컴포넌트
- 컨테이너 컴포넌트이면서, 동시에 모달 속성을 가진 컴포넌트
❑ 다이얼로그의 구조
- 컨테이너(Container)
- 다이얼로그 안에 있는 요소들을 감싸고 있는 프레임을 뜻함 - 헤더(Header)
- 다이얼로그의 제목, 부가설명 등이 들어간 제목 - 액션(Action)
- 사용자의 액션을 요하는 것을 뜻함 (인터랙션)
4. 컨트롤 요소
❑ 컨트롤 컴포넌트의 뜻
- 컨트롤 컴포넌트는 사용자가 선택지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
- 여러 선택지 중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고를 수 있도록 돕는 요소
❑ 체크박스 컴포넌트
- 체크박스는 여러 선택지 중 1개 이상을 선택할 때 사용하는 컨트롤 컴포넌트
- 체크박스는 여러개 선택할 수 있고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 라디오 컴포넌트
- 여러 선택지 중 무조건 1개를 선택할 때 사용하는 컨트롤 컴포넌트
- 라디오는 여러개를 동시에 선택할 수 없다.
'Knowledge > UX | Interac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gma] 피그마 활용_프로토타입 (0) | 2024.03.13 |
---|---|
[Figma] 피그마 활용_IA와 FlowChart (0) | 2024.03.12 |
[Figma] 피그마 입문 (0) | 2024.03.07 |
[UXUI Design] UXUI 디자인 입문_Chapter 6 (0) | 2024.03.04 |
[UXUI Design] UXUI 디자인 입문_Chapter 5 (0) | 2024.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