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I learned] UX/UI디자이너 스파르타 캠프_4주차 #1 FACTS Figma 입문, 심화 활용 강의 피그마 입문(활용) [특강]디자인 시스템, 좋은 디자이너의 비밀 #2 FEELINGS, FINDINGS Figma 강의를 통해 실질적인 개념과 왜 이 기능이 필요한지 알려주는 좋은 강의들이 있어 도움이 많이 되었던 한 주였다. 미리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진행하는 것을 명확히 알게 되었다. 피그마는 단지 툴일 뿐이다. 유관부서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피그마만 전달하려는 마음은 버려야겠다. 통일성이라는 규칙은 과거와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좋은 시스템이다. 예상치 못한 변수를 통해서 사람이 인지하기가 어려운 형태가 아닌 규칙적이고 밀접한 관계를 이루기 위해서는 디자인 시스템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3 FUTURE APPL.. [Today I Learned] 2024-03-15 금요일 #1 Learning ❑ 학습 요약 Figma Chapter 심화 과제 오늘의 아티클 2건 #2 Learned ❑ 아티클 ▼ 여기어때 디자이너가 '실패'에서 배운 것 1. 검색 개편 이유 사용자의 검색엔진에 통합된 결과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들이 보이는 부분 사용자는 국내/해외 구분 없이 통합된 검색 결과를 얻고 싶어하며, 일관된 검색 경험을 하고 싶다는 가설을 세움 2. 통합검색으로 가기 위한 단계 국내 검색 Flow 개선 테스트 4일만에 실패를 통한 깨달음 테스트를 통한 인싸이트 2. 실패를 통한 오답노트 사용자의 성격 차이(국내/해외)를 뾰족이 파악하고 각 퍼소나별 사용자의 진짜 Pain Point를 발굴하기 더 다양한 관점에서 고민을 많이해보고 문제를 여러 각도에서 비춰보기 정답이 있는 디.. [Figma] 피그마 활용 과제_프로토타입 ❑ 이미지 슬라이드 스크롤 컨테이너를 활용한 이미지 슬라이드 만들기 ❑ 아코디언 스마트 애니메이트를 활용해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아코디언 만들기 ❑ 당근앱 글쓰기 버튼 당근 앱의 메인에 있는 글쓰기 버튼이 변하는 과정을 프로토타입으로 만들기 [Today I Learned] 2024-03-14 목요일 #1 Learning ❑ 학습 요약 Figma Chapter 과제 오늘의 아티클 1건 #2 Learned ❑ 아티클 1. 멘탈 모델이란? 멘탈 모델이란 무엇인가? -> 멘탈 모델은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시스템(웹, 앱 또는 기타 제품)에 대한 개인적인 이해와 믿음을 말함 멘탈 모텔은 '사실'이 아닌 '믿음'에 기반을 두고 있다. -> 사용자가 귀하의 웹사이트에 대해 알고 있거나 이미 알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들을 포함 사용자는 자신만의 멘탈 모델을 가지고 있다. -> 각 사용자의 개별적인 배경 지식과 과거의 경험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다른 사용자들은 동일한 시스테멩 대해 다른 멘탈 모델을 형성할 수 있다 멘탈모델의 관성 -> 때로는 현신이 필요하지만, 새로운 방식이 이전으 ㅣ잘 알려진 방식보다 확실.. [Today I Learned] 2024-03-13 수요일 #1 Learning ❑ 학습 요약 Figma Chapter 심화 7 강의 완강 오늘의 아티클 1건 튜터님의 피드백 및 질의응답 #2 Learned ❑ 아티클 1. 인간 심리학과 UX·UI 디자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 특성 과업 지향적 네트워크 -> 매우 집중력을 요구하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을 때 뇌가 접어들게 되는 상태 과업 회피적 네트워크 -> 자유로우면서도 일률적이지 않은 사고를 지원하는 두뇌 네트워크 사용자에 따른 디자인 과업 지향적 네트워크 검색 알고리즘 개발 사용자의 목적 달성을 쉽게 디자인 검색창이 너무 복잡하지 말아야 한다. 과업 지향적 네트워크 유사 콘텐츠 추천 너무 구체적인 용어보다는 넓은 범위의 용어 사용 [아티클 인사이트 #16] 인간 심리학과 UX·UI 디자인 (tistory.c.. [Figma] 피그마 활용_프로토타입 #1 Goals ▼ 학습 목표 프로토타입의 개념과 용도를 이해 피그마 프로토타입 기능의 구성 피그마 프로토타입 기능을 활용해 기본적인 인터랙션과 프로토타입 제작 #2 Learning Content 1. 프로토타입의 개념 ❑ 프로토타입의 뜻 디지털 제품에선 실제 제품을 만들지 않고 아이디어를 테스트해 볼 수 있는 것을 뜻함 프로토타입을 만들거나 사용해 테스트하는 것을 프로토타이핑이라고 함 ❑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이유 실제 제품을 만들지 않고 아이디어를 검증해 볼 수 있다 팀 구성원들과 시각적인 결과물로 소통할 수 있다. 부족하거나 놓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2. 피그마 프로토타입 ❑ 장점 직관적이다 빠르게 만들 수 있다 ❑ 단점 실제 제품처럼 동작하는 걸 만들기 어렵다 효율성을 떨어트린다 ❑ 피그마 프.. [Today I Learned] 2024-03-12 화요일 #1 Learning ❑ 학습 요약 Figma Chapter 심화 6 강의 완강 오늘의 아티클 1건 튜터님의 특강 #2 Learned ❑ 아티클 1. 성공하는 UI/UX의 관점에서 오늘날의 UX전략과 다양성 성공한 UX의 가설 성공하는 UX는 모두 심플할 것이다 성공하는 UXer는 모두 트렌디함을 추구할 것이다 성공하는 UXer들은 모두 사용자의 니즈 분석이 가장 중요하다 성공하는 UXer들은 모두 자사만의 '철학'을 담은 UX를 제공할 것이다. 차세대 UX 예상 [아티클 인사이트 #15] 성공하는 UI/UX의 관점에서 (tistory.com) [아티클 인사이트 #15] 성공하는 UI/UX의 관점에서 #1 오늘의 아티클 ▼ 성공하는 UI/UX의 관점에서 https://www.samsungsds.com/k.. [Figma] 피그마 활용_IA와 FlowChart #1 Goals ▼ 학습 목표 UI설계 시 유의해야 할 점들을 이해 정보구조도(IA)와 화면흐름도(Flowchart)의 차이를 이해 와이어프레임 개념을 이해 #2 Learning Content 1. 다양한 환경에서의 UI차이 ❑ 웹과 앱 앱과 달리 모바일 환경에서의 웹은 기존 사파리 or 크롬과 같은 자체 익스플로앱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구조상 앱과 달리해야 한다. 앱은 피츠의 법칙을 활용해서 인터랙션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들이 존재하지만 웹 환경에서는 구동하기 까다롭다. ❑ OS별 앱의 경우 반드시 앱마켓에 등록을 해야하기 때문에 앱 마켓에서 제시하는 심사 가이드라인을 따라야 한다. IOS와 Android의 큰 차이점은 하단 네비게이션과 홈 인디케이터의 차이로 디자인을 달리 해야한다. ※ 차이에 따른 U..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7 다음